✔️ 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✔️ 5년간 매월 최대 70만원 납입 시 매월 최대 3만 3천원의 정부기여금을 지원받아 만기 시 최대 5천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.
✔️ 청년도약계좌의 지급 금액과 신청 대상 그리고 신청 기간,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가시길 바랍니다.
지급 금액
➡️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
▪️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으로 정부기여금을 지급합니다.
▪️ 2025년 1월부터는 모든 소득구간에서 최대 70만원까지 매칭 기여금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.
- 소득구간 1 (총급여 2,400만원 이하): 기여금 6% 지급
- 소득구간 2 (총급여 3,600만원 이하): 기여금 4% 지급
- 소득구간 3 (총급여 4,800만원 이하): 기여금 3% 지급
- 소득구간 4 (총급여 6,000만원 이하): 기여금 3% 지급
➡️ 실제 수령 금액 예시
▪️ 월 70만원 납입 시 소득구간별로 다음과 같은 정부기여금을 받습니다:
- 소득구간 1: 월 납입 70만원 → 정부기여금 월 3만 3천원
- 소득구간 2: 월 납입 70만원 → 정부기여금 월 2만 8천원
- 소득구간 3: 월 납입 70만원 → 정부기여금 월 2만 1천원
- 소득구간 4: 월 납입 70만원 → 정부기여금 월 1만 8천원
신청 대상
➡️ 나이 요건
▪️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 청년
▪️ 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 시 제외됩니다.
➡️ 개인소득 요건
▪️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
▪️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
▪️ 육아휴직급여나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 소득구간 1로 적용
➡️ 가구소득 요건
▪️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- 1인 가구: 월 520만원 이하
- 2인 가구: 월 873만원 이하
- 3인 가구: 월 1,127만원 이하
- 4인 가구: 월 1,380만원 이하
⛔ 가입 불가 대상
▪️ 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자
▪️ 소득이 전혀 없는 경우
▪️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
신청 기간
➡️ 2025년 9월 신청 일정
▪️ 가입신청: 2025년 9월 1일(월) ~ 9월 12일(금)
▪️ 신청시간: 영업일 오전 9시 ~ 오후 6시 30분
➡️ 계좌개설 일정
▪️ 1인 가구: 9월 18일(목) ~ 10월 17일(금)
▪️ 2인 이상 가구: 9월 29일(월) ~ 10월 17일(금)
▪️ 가입대상으로 안내받은 고객에 한해 계좌개설 가능
➡️ 매월 신청 안내
▪️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정기적으로 신청 기간을 운영합니다.
▪️ 세부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▪️ 기존 신청자도 계좌 미개설 시 재신청 가능
신청 방법
➡️ 온라인 신청 방법
▪️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모바일 앱에서 비대면 신청
▪️ 신청부터 계좌개설까지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
➡️ 취급 은행
- 시중은행: 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IBK기업
- 지방은행: NH농협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iM뱅크
➡️ 신청 절차
- 은행 앱 다운로드 및 가입신청
- 개인정보 및 소득정보 입력
- 가구원 정보제공 동의
- 가입요건 확인 및 심사
- 적격자 통보 및 계좌개설
➡️ 외국인 신청 방법
▪️ 신청은 은행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
▪️ 계좌개설은 반드시 취급은행 지점에서 대면 진행
▪️ 외국인등록증, 영주증, 국내거소신고증 필요
필요 서류 및 신청 꿀팁
📋 필수 서류
▪️ 국세청 소득확인증명서(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과세특례 신청용)
▪️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소득금액증명원
▪️ 주민등록표 등본(가구원 확인용)
▪️ 병적증명서(해당자에 한함, 병역기간 연령 제외용)
💡 신청 꿀팁
▪️ 신청 전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에서 가입요건을 미리 확인하세요
▪️ 가구원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므로 사전에 협조를 구하세요
▪️ 2025년부터 부분인출 제도가 도입되어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%까지 인출 가능
▪️ 성실납입(2년 경과+800만원 이상 납입) 시 신용점수 5~10점 가점 혜택
⚠️ 주의사항
▪️ 전 금융기관 통틀어 1인 1계좌만 가입 가능
▪️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소멸(특별중도해지 제외)
▪️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의 60%만 지급
▪️ 거짓 정보로 부정청구 시 환수 및 제재부가금 부과
🔻 같이 보면 좋은 글 🔻